-
아스키 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자바스크립트에서 활용해보기프론트엔드/React&JS 2023. 2. 18. 02:55

프로그래머스 레벨 1 시저 암호를 풀면서 이에 대한 개념이 필요한 일이 생겼다.
아스키 코드란?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스키는 7비트 인코딩으로,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을 비롯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로 총128개로 이루어진다. 제어 문자들은 역사적인 이유로 남아 있으며 대부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출력 가능한 문자들은 52개의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와, 10개의 숫자, 32개의 특수 문자, 그리고 하나의 공백 문자로 이루어진다.https://ko.wikipedia.org/wiki/ASCII 에 들어가보면 출력 가능한 아스키 코드가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내가 사용해야하는 부분은 알파벳이라서 알파벳 대문자 65 ~ 90 , 알파벳 소문자 97 ~ 122 (십진법) 을 토대로 사용했다.
JavaScript 에서 활용
1. String.prototype.charCodeAt()
charCodeAt() 메서드는 주어진 인덱스에 대한 UTF-16 코드를 나타내는 0부터 65535 사이의 정수를 반환합니다.
구문
str.charCodeAt(index)
'문자열'.charCodeAt() 을 사용하면 해당 글자의 십진법 아스키 코드가 나온다.
문자열이 한글자가 아니라면 원하는 문자열의 인덱스를 () 에 넣어주면 된다.
2.String.fromCharCode()
정적 String.fromCharCode()메서드는 지정된 UTF-16 코드 단위 시퀀스에서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구문
String.fromCharCode(num1) String.fromCharCode(num1, num2) String.fromCharCode(num1, num2, /* …, */ numN)
String.formCharCode(해당문자아스키코드 번호) 를 입력하면 문자가 출력된다.
이 두개를 사용해 프로그래머스 레벨1 시저 암호를 풀었다. :)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charCodeAt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fromCharCode
'프론트엔드 >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Router Redirect 처리를 해보자. (feat. 원티드 프리온보딩 인턴십 사전과제) (0) 2023.04.12 React 커스텀 Hook 만들기 (0) 2022.12.14 useForm hook 을 사용해보자 (0) 2022.11.11 useNavigate로 데이터 보내기 (0) 2022.10.21 useEffect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2.09.19